한랭질환은 무엇인가요?
•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입니다.
• 한랭질환은 심각한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으나 예방이 가능하므로 사전에
예방법과 조치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랭질환에 취약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노인
•노인은자율신경계기능이나혈관의방어기전이저하되어추울때혈관을
수축하여 열 손실을 감소시키는 등의 보상반응이 일반 성인보다 낮아 한랭질환에 취약합니다.
•노인이동절기이른아침에무리한신체활동을할경우에는혈압이상승하거나
심뇌혈관질환이악화될가능성이있습니다.
소아
•소아는체표면적(신체표면의면적)이크고피하지방이적어서체온유지가
어렵고, 몸을 떨어서 체온을 상승시키는 보상반응이 일반 성인보다 약해저체온증에걸릴위험이높습니다.
만성질환자
• 동상이나 저체온증은 만성질환의 위험인자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뇌졸중, 심근경색등심뇌혈관질환은한파시갑작스럽게발생하거나악화될수있습니다.
노숙인
• 노숙인은 일반인에 비해 만성질환이 있거나 알코올 중독, 약물 중독일 가능성이크고 추위를 피할 수 있는 거주 장소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어 한랭질환 발생위험이큽니다.
✅ 보건복지부에서 재난도우미를 통해 독거노인 등 취약 계층에 대해 지원, 또한 노숙인 쪽방주민 등에 대해 응급잠자리 제공 또는 임시주거비를 지원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독거노인종합지원센터 1661-2129쪽ㅂ
✅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에너지 바우처 제도를 통하여 생계,의료급여 수급가구에 대하여 겨울철 난방비를 지원
에너지바우처 콜센터 1600-3190
겨울철 지나친 음주가 왜 위험한가요?
술을 마시면 자율신경계 기능이 떨어지게 되어 체온유지가 어려워 지고, 체내에서 알코올이 분해되면서 일시적으로 체온이 올라가지만 피부를 통해 열이 발산되면서 체온은 다시 떨어지게 됩니다. 그러나 취기로 인해 체온이 다시 떨어지는 것을 인지하기 어려워 저체온증 등 한랭질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저체온증은 무엇인가요?
‘저체온증’은심부체온이 35℃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를 말하며 성인: 몸 떨림, 피로감, 착란, 어눌한 말투, 기억상실, 졸림
유아: 빨갛고 차가운 피부, 축 처짐 증상등이 있습니다.
➡️119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또는 당장 의료기관으로 갈 수 없는 경우 다음과 같이 조치합니다.
• 가능한 빨리 환자를 따뜻한 장소로 이동시킵니다.
• 젖은 옷을 벗기고 몸을 담요 등으로 감쌉니다.
• 환자가 완전히 의식이 있으면 따뜻한 음료(술 제외)와 초콜릿과 같은 단 음식을 섭취하게 합니다.
- 의식이 없는 환자는 질식 등 위험이 있으므로 음료를 마시게 해서는 안됩니다.
• 119 구급대가 도착할 때까지 말하면서 깨어있게 합니다.
• 맥박이 없거나 숨을 쉬지 않는 것처럼 보이면 119 구급대가 오기 전까지 심폐소생술을 시행합니다.
동상은 무엇인가요?
동상은 강한 한파에 노출됨으로써 표재성 조직(피부 및 피하조직)이 동결하여손상되는 것을 의미합니다.주로 코, 귀, 뺨, 턱, 손가락, 발가락 등에서 나타나며,심한 경우 절단이 필요할 수도 있는 질환입니다.
피부색이 점차 흰색이나 누런 회색으로 변하고피부 촉감이 비정상적으로 단단해지며피부 감각이 저하되어 무감각해집니다.
신속히의료기관을방문하여치료를받는것이가장중요합니다.
➡️즉각적인 치료를 받을 수 없을 때는 다음과 같이 조치합니다.
•신속히환자를따뜻한장소로옮깁니다.
• 동상부위를 따뜻한 물(37~39℃)에 20~40분간 담급니다.
⚠︎재동결(refreezing)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는 따뜻한 물에 담그는 응급처리를 하면 안 됨
•얼굴,귀:따뜻한물수건을대주고자주갈아줍니다.
• 손, 발 :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 소독된 마른 거즈를 끼워습기를 제거하고, 서로 달라붙지 않게 합니다.
• 동상부위를 약간 높게 하여부종 및 통증을 줄여줍니다.
동창은 무엇인가요?
동창은다습하고 가벼운 추위(0℃~10℃)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말초의 혈류 장애로 인한피부와피부조직의염증반응을말합니다.
⚠︎추위에 노출된 후 피부가 가려울 때 흔히 ‘동상’에 걸렸다고 말하는데 실제로는 ‘동창’인 경우가 많습니다.
동상처럼 피부가 얼지는 않지만손상부위에 세균이 침범하면 궤양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국소부위에 가려움이 있고, 따뜻한 곳으로 가면 가려움이 더욱 심해집니다.
•심한경우울혈,물집,궤양등이생길수있습니다.
• 심하지 않은 경우는 대개 별다른 치료 없이도 수 주 내에 저절로 호전되지만약물이도움이될수있습니다.
➡️
• 언 부위를 따뜻한 물에 담가 따뜻하게 합니다.
• 동창 부위를 약하게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유도하고 긁지 않습니다.
• 동창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보습을 합니다.
침수병 및 침족병 무엇인가요?
침수병 및 침족병이란 10℃ 이하인 물에 손이나 발이 오래 노출되어 발생하는 피부 짓무름 등의손상입니다.
(예: 축축하고 차가운 신발을 오래 신고 있을 때)
•초기에는가렵거나무감각하고저린듯한통증이나타납니다.
• 증상이 진행되면서 해당부위가 부어 보이며 피부는 약간 빨갛게 되거나 파란색혹은검은색을띄게됩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물집이 생기거나 조직의 괴사 혹은 피부에 궤양이 생기기도합니다.
한랭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수칙은 무엇인가요?
건강한 겨울나기, 이렇게 준비하세요!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100세의 시작! 폐렴구균 예방접종 , 연중 언제든지! (1) | 2025.01.05 |
---|---|
인플루엔자 환자 급증세, 어린이, 임신부, 65세이상 어르신 지금이라도 예방접종 꼭 받으세요! 25.4.30일까지! 독감 예방접종 관련 궁금증에 대해 (0) | 2025.01.04 |
해외여행 떠나기 전에 확인했나요? 해외감염병 예방수칙 Check! (1) | 2025.01.04 |
겨울철에 주의해야 할 질환 및 건강수칙! 이것만은! (1) | 2025.01.03 |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독감조심하세요! (0) | 2025.01.02 |